데이터 부트캠프 - article study

[스파르타 내일배움캠프 / 데이터 분석 트랙] article study 2 - 데이터 분석가는 어떤 일을 하나요?

onion95 2024. 11. 14. 21:46

아티클 링크 : https://medium.com/modulabs/%EC%BD%98%ED%85%90%EC%B8%A0-%ED%81%AC%EB%A6%AC%EC%97%90%EC%9D%B4%ED%84%B0-%EC%86%8C%EA%B0%9C-b2455d77c6d0

 

[데이터분석] 데이터 분석가는 어떤 일을 하나요?

데이터 분석가의 업무와 필요한 역량에 대해 설명합니다.

medium.com

 

 

 

source : https://thedatascientist.com/data-science-without-programming/data_science_venn_diagram/

 

 

[주제]

1. 데이터 분석가, 엔지니어, 사이언티스트의 차이

2. 데이터 분석가의 업무

3. 데이터 분석가의 역량

 

 

[아티클 요약]

1. 데이터 분석가, 엔지니어, 사이언티스트의 차이

  • 데이터 분석가는 기획자, 데이터 엔지니어와 사이언티스트는 개발자라고 할 수 있다.
  • 하지만 현실적으로 회사 바이 회사이다.
  • 비즈니스 분석가의 포지션일 수도 있고, 엔지니어 역할까지 가능한 분석가일 수도 있다.

2. 데이터 분석가의 업무

  • 데이터 분석가의 업무 = 수학&통계학 + 비즈니스/도메인 전문지식
  • 일반적인 업무에서는 기초 통계학 수준의 이해, 머신러닝을 사용한다면 미적분, 벡터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 데이터 분석가는 수집된 데이터가 회사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활용되도록 하는 역할이다.
  • 통계 수치를 보고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산업군과 해당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와 연결되어 있다.

3. 데이터 분석가의 역량

  • 데이터 분석가에게 필요한 역량은 도메인에 대한 이해, 문제 해결, 의사소통, 의미있는 결론 도출이라고 할 수 있다.
  • 도메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산업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얼만큼의 관심을 가지고 데이터를 해석하느냐에 따라 관련 수치를 이해할 수 있다.
  •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와 실제 요구되는 데이터가 다를 경우와 같이 문제 상황에서 해결을 위한 창의성이 필요하다.
  • 분석 결과물을 보는 사람의 입장에서 이해하기 쉬운 용어와 설명방식이 필요하다. (명확한 용어 정의, 맞춤형 설명)
  • 데이터가 나타내는 큰 메시지를 의미하는 작은 단서를 알아차려야 한다. 최종 목표를 위해 지표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다양하게 쪼개면서 지속적으로 올바른 지표 설정을 검토해야한다.

 

[인사이트]

퇴사한 직장에서 가장 힘들었던 부분이 '우리한테는 데이터가 없는데 어떻게 기획서 내용을 채우지' 였다. 아마도 나에게 아직 문제해결 역량이 부족했다는 시그널이었을 것이다. 데이터 분석 공부를 시작하면서 가장 배우고자 했던 영역이기도 해서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첫 부트캠프를 참여하면서 '지표설정'에 치를 떨었다. 미니프로젝트를 할 때마다 지표를 설정하라는 말을 들었고 이런 지표 저런 지표를 억지로 만들어내는 연습을 했었다. 그때는 마냥 지표를 설정하는 것 자체에 몰두해서 해당 과정의 의미를 몰랐다면 이 아티클을 통해 지표가 의미있는 인사이트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알게 되었다.